도시별 고층건물 층수 표기 방식 비교, 왜 다를까?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고층건물 층수 표기에 대해서 포스팅해 봅니다. 여행지던지 회사, 상가건물을 가면 다양한 층수 표시들이 눈에 들어오는 데요,
현대 도시의 스카이라인은 고층 건물로 가득 차 있으며, 이러한 건물들의 층수 표기 방식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50층 건물이라 하더라도 특정 국가에서는 48층으로 표기되거나 52층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요? 오늘은 도시별 고층건물 층수 표기 방식과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의 층수 표기 방식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상 1층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층수를 매깁니다. 다만, 특정 숫자를 기피하는 문화적 요소가 반영되기도 합니다.
[특징] 4층(四)은 ‘사(死)’와 발음이 같아 기피되며, 일부 건물에서는 3A층 또는 F층으로 표기됨, B(지하)와 P(펜트하우스) 등 다양한 접두어 사용
[예시] 3층 → 3A층, 4층 → F층
[이유] 한국의 전통적인 숫자 기피 문화, 입주자 및 방문객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조치
2. 미국의 층수 표기 방식
미국에서는 층수를 1층부터 매기지만, 일부 숫자는 생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됩니다.
[특징] 13층이 없는 경우가 많음 (12층 다음이 14층으로 표기), 로비 층을 ‘L’로 표기하는 경우 존재
[이유] 13이라는 숫자가 불길하다고 여기는 서구 문화의 영향, 일부 건물에서는 13층을 기피하는 고객을 고려하여 생략
[예시] 12층 → 14층
3. 유럽(영국, 프랑스)의 층수 표기 방식
유럽, 특히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한국이나 미국과 다르게 층수를 매깁니다.
[특징] 1층이 ‘Ground Floor(G)’로 표기되고, 그 위부터 1층(Floor 1)으로 시작, 일부 프랑스 건물에서는 ‘Mezzanine(중간층)’이 존재하여 실제 층수보다 더 많은 숫자로 보일 수 있음
[이유] 역사적으로 건물 설계 방식이 지면층을 독립적인 층으로 간주한 데서 기인
[예시] 한국의 1층 = 영국의 G층, 한국의 2층 = 영국의 1층
4. 중국 및 홍콩의 층수 표기 방식
중국과 홍콩에서는 숫자 기피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며, 특정 숫자는 아예 건물에서 제외되기도 합니다.
[특징] 4층뿐만 아니라 14, 24, 34 등 4가 들어간 층을 모두 생략하는 경우 있음, 8은 행운을 의미하여 건물 명칭에 자주 사용됨
[이유] 중국어에서 ‘4(四)’가 ‘죽음(死)’과 유사하게 발음되기 때문, ‘8(八)’은 번영과 부를 상징하는 숫자로 선호됨
[예시] 3층 → 3A층, 4층 → 3B층, 13층 → 12A층, 14층 → 15층
5. 일본의 층수 표기 방식
일본은 한국과 비슷한 층수 표기 방식을 따르지만,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특징] 4층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지만 완전히 생략되지는 않음, 지하층은 ‘B’가 아닌 ‘BF(Basement Floor)’로 표기하는 경우 많음
[이유] 한국과 유사한 숫자 기피 문화, ‘BF’ 표기가 더 직관적이라는 설계상의 이유
[예시] 4층 →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 많음, 지하 1층 → B1F
6. Ground Floor, Lobby, Mezzanine 층 사용 사례
일부 건물에서는 일반적인 숫자 층수 대신 특정 기능을 강조하는 표기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징] ‘G’(Ground Floor) → 유럽과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1층 대신 사용, ‘L’(Lobby) → 고급 호텔, 업무용 빌딩에서 로비 층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 ‘M’(Mezzanine) → 4M, 5M 등 중간층을 의미하며 층수 증가 없이 층고가 높은 경우 사용됨
[이유] 로비 층을 명확히 구분하여 방문객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 건축 구조상 층고가 높은 공간을 포함시키되 실제 층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일부 건물에서는 ‘M’ 층을 추가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이는 용도로 활용
[예시] 1층 → G (Ground Floor), 2층 → L (Lobby), 4층과 5층 사이 → 4M층
7. 기타 국가의 독특한 층수 표기 방식
[이탈리아] ‘Mezzanine(중이층)’ 개념이 강하여 일부 건물은 층수가 다르게 표시됨
[인도] 영국식 표기법을 따라 지상층을 ‘Ground Floor’로 표시
[두바이] 초고층 건물들이 많아 마케팅 목적으로 실제 층수보다 더 높은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 있음
층수 표기 차이, 그 이유는 결론적으로 숫자에 대한 선호 및 기피가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건축 설계 방식의 차이(로비, 메자닌 층 포함 여부 등) 및 마케팅 요소(더 높아 보이기 위한 상업적 전략)가 가미되어 있는 거 같습니다.
'3. 일상 다반사 > 1)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마사지 종류 및 차이점 : 어떤 마사지가 나에게 맞을까? (3) | 2025.04.06 |
---|---|
봄에 들으면 좋은 노래 추천, 화창한 날 vs. 봄비 내리는 날 (14) | 2025.03.18 |
봄 여행룩, 어떻게 입을까? 트렌드 변화와 스타일 추천 (12) | 2025.03.15 |
[하이볼 탐구] 다양한 종류 및 집에서 하이볼 만들어 보기 (15) | 2025.03.05 |
화이트데이의 모든 것! 기원부터 선물 트렌드까지 완벽 정리 (10) | 2025.03.03 |